본문 바로가기

개인 스터디/정리

(20)
[정보처리기사 실기] 6. 데이터베이스 기초 활용 1. 데이터베이스 종류데이터베이스 다수의 인원이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데이터베이스의 정의통합된 데이터 : 자료의 중복 배제저장된 데이터 : 저장 매체에 저장운영 데이터 :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공용 데이터 : 여러 애플리케이션,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데이터데이터베이스 특성실시간 접근성 : 쿼리에 대하여 실시간 응답이 가능해야 한다는 특성계속적인 변화 : 새로운 데이터의 삽입, 삭제, 갱신으로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유지한다는 특성동시 공용 :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내용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특성내용 참조 : 데이터 참조 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의 내용으로 데이터를 찾아야 한다는 특성DBMS : 데이터 관리의 복잡성을 해결하는 동시에 데이터 ..
[정보처리기사 실기] 5. 데이터 저장소 1. 데이터 모델데이터 모델 : 현실세계의 정보를 이해할 수있도록 추상화하여 표현한 모델데이터 모델 요소구조 : 개체 타입과 개체 타입 간의 관계  연산 :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요소제약 조건 : 실제 데이터의 논리적인 제약 조건데이터 모델 절차요구조건 분석 : 외부 환경과의 상호 작용 분석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요구 분석개념적 설계 : 트랜잭션을 모델링하는 단계. 개체-관계 다이어그램(ERD) 산출물논리적 설계 : 트랜재견의 인터페이스 및 DBMS에 맞는 논리적 스키마 설계. 정규화 수행물리적 설계 : 각 DBMS의 특성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 저장 구조로 변환하는 모델. 반 정규화 수행 2. 논리 데이터 모델논리 데이터 모델 : 업무의 모습을 모델링 표기법으로 형상화하여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..
[정보처리기사 실기] 4. UI 설계 1. UMLUML :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산출물을 명세화할 때 사용되는 표준화된 범용 모델링 언어UML 특징가시화 언어 : 개념 모델 작성 시 오류가 적고 의사소통이 용이구축 언어 : 다양한 언어로 실행 시스템의 예측 가능, 소스 코드 변환 및 역 변환 가능명세화 언어 : 정확한 모델 제시, 완전한 모델 작성 가능문서화 언어 : 시스템에 대한 평가 및 의사소통의 문서UML 구성요소사물 : 추상적인 개념으로, 주제를 나타내는 요소관계 : 사물과 사물을 연결하여 관계를 표현하는 요소다이어그램 : 사물과 관계를 모다 그림으로 표현. 9가지로 정의 UML 다이어그램구조적(정적) 다이어그램 : 시스템의 구조 및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클래스(Class) : 클래스의 속성 및 연산..
[정보처리기사 실기] 3. UI 요구사항 확인 1. UI 요구사항 확인사용자 인터페이스(UI) :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고안된 물리적, 가상의 매개체. UX 포함UX : 사용자가 직/간접적으로 경험하며 느끼는 것UI 유형CLI : 정적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GUI : 그래칙 반응 기반 인터페이스NUI : 직관적 사용자 반응 기반 인터페이스. 신체부위 이용OUI : 유기적 상호 작용 기반 인터페이스. 모든 사물이 입출력장치로 변화 가능UI 설계 원칙직관성(Intuitiveness) :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쉽게 사용유효성(Efficiency) : 정확하고 완벽하게 사용자의 목표 달성학습성(Learnability) : 모두사 쉽게 배우고 사용유연성(Flexibility) :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고 실수를 방지  UI 요..
[정보처리기사 실기] 2. 현행 시스템 분석 1. 현행 시스템 파악현행 시스템 파악 : 현행 시스템의 SW 및 HW, 네트워크 구성 및 제공 기능 등을 파악하는 활동현행 시스템 절차 구성/기능/인터페이스 파악아키텍처 및 소프트웨어 구성 파악시스템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 구성 파악소프트웨어 아키텍처 : 소프트웨어의 구성요소와 외부 특성, 관계를 표현하는 구조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: 소프트웨어 시스템에서 아키텍처가 표현해야 하는 내용을 제공하는 기술 표준소프트웨어 아키텍처 4+1 뷰 : 고객의 요구사항을 정리해 놓은 시나리오를 4개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접근 방법소프트웨어 아키텍처 4+1 뷰 구성요소Usecase View : 다른 뷰를 검증하는 데 사용Logical View : 기능적 요구사항이 어떻게 제공되는지 설명Process View : 시..
[정보처리기사 실기] 1. 요구사항 확인 1.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소프트웨어 생명주기(SDLC) 모델 : 시스템 개발 생애 작업 프로세스 모델화모델 프로세스요구사항 분석 : 개발할 소프트웨어의 기능, 제약 조건, 목표, 사용자를 명확하게 정의-> 기능/비기능 요구사항설계 : 정의한 기능의 수행 바법을 논리적으로 결정 : 시스템 구조/프로그램/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구현 : 문제 해결 방법을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작성 -> 인터페이스/자료 구조 개발, 오류 처리테스트 : 시스템이 요구를 만적하는지 평가 -> 단위/통합/시스템/인수 테스트유지 보수 : 시스템이 인수되고 설치된 후 일어나는 모든행동 -> 예방/완전/교정/적응 유지보수   SDLC 종류폭포수 모델(Waterfall Model) : 각 단계를 확실히 마무리 지은 후 다음 단계로..
Do it 웹사이트 따라 만들기 - 구글 API로 Contact Us 폼 처리하기 # 10-1. 구글 앱스 메일로 가상 서버 만들기 구글에서 제공하며, 우리가 만든 폼을 처리해주기 위한 API이다. HTML 파일 안에서 태그에 mailto 속성으로 메일을 보낼 수 있다. 자신의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docs.google.com/spreadsheets/u/1/d/1Bn4m6iA_Xch1zzhNvo_6CoQWqOAgwwkOWJKC-phHx2Q/copy 를 복사해 브라우저 창에 붙여 넣고 이동한다. 엑셀 시트 상단 메뉴에서 도구 -> 스크립트 편집기를 선택한다.(지금은 확장 프로그램 -> add script로 변경) 스크립트 파일이 나오면 주석을 삭제하고 박스로 메일 자리에 본인 메일 주소를 입력한다. 상단 메뉴의 파일 -> 버전 관리를 선택하여 텍스트 입력창에 사용할 스크립트의 제목..
Do it 웹사이트 따라 만들기 -Contact Us 페이지 만들기 # 9-1. 폼 요소 살펴보기 폼 태그 form : 서버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콘텐츠로, 사용자의 요청을 받고 서버에서 그에 따른 처리를 진행한다. 동작 과정 폼 내용을 입력 한 후 폼 안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웹 서버로 보낸다. 웹 서버는 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폼 안에 있는 데이터를 웹 프로그램으로 보낸다. 웹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처리한 후 결과를 웹 서버로 보낸다. 웹 서버에서 받은 결과를 브라우저에 보내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된다. 폼 태그 속성 action : 폼을 통해 전송한 정보를 처리하는 웹 페이지의 URL을 나타낸다. method(default = get) : 브라우저가 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HTTP의 방식을 지정한다. 이 속성값은 get 또는 post 중 한 개를 갖는다. au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