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
- JSON : "키-값 쌍"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오브젝트를 전달하기 위해 인간이 읽을 수 있는 텍스트를 사용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. AJAX에서 많이 사용되고 XML을 대체하는 주요 데이터 포맷
- JSON 표현 자료형
- 선형 구조 : 리스트, 스택, 큐, 데크
- 문자열 : 큰 따옴표로 묶이고, 안에는 유니코드 문자들이 나열
- 배열 : 대괄호로 표시, 순서에 의미가 있음
- 객체 : 중괄호 사용, 순서에 의미 없음
- XML : HTML의 단점을 보완한 인터넷 언어로, SGML의 복잡한 단점을 개선한 특수 마크업 언어. 사용자가 직접 문서의 태그를 정의하고 사용할 수 있다.
- SGML : 문서 구조와 콘텐츠를 정의하기 위해 표준화된 마크업 언어
- AJAX :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비동기적으로 XML 데이터를 교환하고 조작하기 위한 웹 기술
- AJAX 주요 기술
- XMLHttpRequest :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객체
- JavaScript :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
- XML : HTML의 단점을 보완한 인터넷 언어로, SGML의 복잡한 단점을 개선한 특수 마크업 언어
- DOM : XML 문서를 트리 구조의 형태로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API
- XSLT : XML 문서를 다른 XML 문서로 변환하는 데 사용하는 XML 기반 언어
- HTML : 인터넷 웹 문서를 표현하는 표준화된 마크업 언어
- CSS : 마크업 언어가 실제 표시되는 방법을 기술하는 언어
- 스크립트 언어 :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 별도의 컴파일 과정 없이 인터프리터에 의해 즉시 실행되는 프로그래밍 언어
- AJAX 동작 원리
- 사용자에 의한 요청 이벤트 발생
-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핸들러에 의해 자바스크립트 호출
- 자바스크립트는 XMLHttpRequest 객체를 사용하여 서버로 요청
- 서버는 전달받은 XMLHttpRequest 객체를 가지고 AJAX 요청을 처리
- 서버는 처리한 결과를 HTML, SML, JSON 형태의 데이터로 웹 브라우저에 전달
- 서버로 전달받은 데이터를 가지고 웹 페이지의 일부분을 갱신하는 자바스크립트를 호출
- 결과적으로 웹 페이지의 일부분이 다시 로딩 되어서 표시
- REST : 웹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환경에서 자원의 존재/상태를 표준화된 HTTP 메서드로 주고받는 웹 아키텍처
- REST의 기본 형태
- 리소스(자원) : URI, 세부 리소스는 id를 붙인다.
- 메서드(처리) : HTTP Methods(CRUD)
- 콘텐츠 타입 : XML, JSON
# 회고
부족했던 프론트엔드 지식부분이 채워져서 좋았따. REST는 알아서 간단히 정리
추가로 알아본것들
- AJAX의 핵심 언어 JavaScript를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는 AJAX를 기반 언어로 사용한다. React.js, Vue.js, jQuery 등..
- 백엔드는 거의 기본적으로 AJAX를 처리할 수 있게 설정
- 기본 HTML 폼이나 링크, 전체 페이지 새로고침 등은 AJAX를 통해서 하지 않는다.
추가로 나는 JSON만 응답 포맷으로 사용했는데...옛날에는 REST API대신 SOAP 웹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XML도 응답 포맷으로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. 진짜 오래된 금융이나 정부 기관에서 어떻게 하는지 궁금
'개인 스터디 >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처리기사 실기] 8. 내외부 연계 모듈 구현 (0) | 2025.04.14 |
---|---|
[정보처리기사 실기] 7. 연계 매커니즘 구성 (0) | 2025.04.13 |
[정보처리기사 실기] 6. 데이터베이스 기초 활용 (1) | 2025.04.11 |
[정보처리기사 실기] 5. 데이터 저장소 (0) | 2025.04.11 |
[정보처리기사 실기] 4. UI 설계 (0) | 2025.04.08 |